Surprise Me!

[기업기상도] 실력 뽐내 맑은 기업 vs 강풍 맞고 흐린 기업

2021-10-24 0 Dailymotion

[기업기상도] 실력 뽐내 맑은 기업 vs 강풍 맞고 흐린 기업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좀 더 완화된 거리두기에 들어간 첫 주였습니다.<br /><br />단계적 일상회복도 예상보다 빨라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죠.<br /><br />새로운 단계가 열릴 것이란 기대가 지난 1년 9개월 새 가장 컸던 한 주 기업계 소식 기업기상도로 살펴보시죠.<br /><br />김종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 주 기업뉴스 리뷰 주간 기업기상도입니다.<br /><br />코로나가 당장 끝나진 않지만 그래도 닫힌 몸과 마음 조금은 더 열 수 있을 것 같은 설레임 있던 한 주였습니다.<br /><br />기업도 소상공인도 활력 되찾는 '그날' 기대하며 이번 주 기업기상도 출발합니다.<br /><br />먼저 현대자동차입니다.<br /><br />고성능차와는 거리가 먼 듯 하더니 세계적 자동차 경기 3개 우승 소식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월드랠리챔피언십, 월드투어링카컵, 전기차 경주대회 ETCR에서였습니다.<br /><br />10여 년 전까지 대중차만 전력하던 현대가 달라진 걸까요?<br /><br />현대의 우승 가볍게 볼 분도 있겠지만 경주 대회 우승은 자동차 회사들의 고성능차 기술 드러내는 역할합니다.<br /><br />돈 들여 대회 나가는 이유입니다.<br /><br />사실 몇몇 스포츠카 회사 아니면 고성능차들 돈 안 되죠.<br /><br />불황 오면 첫 감축 대상이고 재무 담당에겐 골칫거리입니다.<br /><br />그래도 이런 결과가 회사 기술실력 보여주는 수단이 됩니다.<br /><br />다음은 대한항공을 필두로 한 항공업계입니다.<br /><br />사이판, 싱가포르 이어 하늘길 속속 다시 열립니다.<br /><br />대한항공이 다음 달 3일 인천-하와이 노선 19개월 만에 재개합니다.<br /><br />하와이 여행객도 1월 200여 명에서 최근 월 1,000명으로 늘었답니다.<br /><br />트래블버블 협정 맺은 사이판은 곧 부산에서도 갈 것 같고요, 싱가포르에는 제주, 티웨이항공도 운항 나섭니다.<br /><br />억눌렸던 여행 욕구가 분출하는 모양입니다. 다만 어디를 가든 방역수칙 준수는 필수입니다.<br /><br />이제 흐린 기업입니다.<br /><br />먼저 구글, 애플코리아입니다.<br /><br />세계 첫 갑질방지법 가볍게 알고 대충 넘어가려다 방송통신위원회에서 퇴짜 맞았습니다.<br /><br />자사 결제 시스템과 30% 수수료 강요 금지법 통과돼도 달라진 게 없었나 봅니다.<br /><br />국회발 전언 종합하면 명확한 갑질 방지 계획은 없고 현 방식이 개정법에 부합한다는 주장도 했답니다.<br /><br />방통위는 계획 다시 내라고 통보했고 업계 실태조사도 벌입니다.<br /><br />현 상황이 법에 부합하면 국내 앱 업체들은 거짓말했고 국회는 그 말 따라 법 만든 게 됩니다.<br /><br />두 회사는 전 세계에서 반독점 규제, 세금 징수 강화에 직면한 이유가 뭔지 알아야 합니다.<br /><br />다음은 한국가스공사입니다.<br /><br />들여오는 가스값은 사상 최고속도로 뛰었는데 요금 못 올려 울상입니다.<br /><br />채희봉 사장이 국정감사에서 적정수준 요금 인상이 필요하다고 했습니다.<br /><br />물가에 놀란 기획재정부가 공공요금 동결 방침 내놓고 문재인 대통령이 재확인했는데 사장이 이렇게 말한 겁니다.<br /><br />그만큼 상황이 심각하죠.<br /><br />천연가스 현물가격이 1년 전의 10배가 됐답니다.<br /><br />이럴 때 먼저 쓸 수단이 관세 깎는 겁니다만 얼마 안 되죠.<br /><br />이렇게 비싸다면 값 좀 올려 수요를 억제하는 것도 필요하지 않을까요?<br /><br />이번엔 신세계입니다.<br /><br />한국 고급백화점 상징이자 매출 1위 백화점 강남점에 물이 새 체면 구겼습니다.<br /><br />지지난 주말쯤 SNS에서 짧은 영상이 돌았습니다.<br /><br />신세계 강남점 식품관 천장에서 물 쏟아지는 모습이었죠.<br /><br />물 피해 넘어 과거 무너졌던 백화점 생각난다는 말도 붙어있더군요.<br /><br />회사는 배수관 이탈이 원인이고 구조적 하자는 없다는 해명 내놨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임원급 점장, 부점장 교체됐습니다.<br /><br />사실 리뉴얼이란 이름으로 백화점보다 건물 자주 손대는 곳 없죠. 손님은 좀 많습니까?<br /><br />구조 안전에 몇 배는 더 신경 써야 합니다.<br /><br />마지막은 포스코입니다.<br /><br />기술 개발은 멀었는데 탄소 감축량은 늘어나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.<br /><br />대량의 석탄 쓰는 제철은 탄소배출도 많죠.<br /><br />산업 배출량 30%가 나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정부 산업부문 탄소 감축 목표가 당초 2018년 대비 6.4%에서 14.5%로 늘었습니다.<br /><br />포스코엔 발등의 불이죠.<br /><br />10년도 더 전부터 수소 쓰는 수소환원제철법 연구했지만 2050년이나 실용화된다네요.<br /><br />그런데 이보다 20년 앞서 대량 감축법 찾아야 하는 겁니다.<br /><br />기술 개발에 돈 쏟아붓자니 이것도 부담이고 현 방식대로면 수요 늘어도 설비 확충 어렵습니다.<br /><br />고개 넘을 방법 빨리 찾아야 합니다.<br /><br />물가 뛰고 빚은 늘었는데 금리는 오르고, 일상회복이 다가왔지만 넘을 산은 더 많아진 느낌입니다.<br /><br />주도면밀한 사전 대비가 없으면 1년 9개월간보다 훨씬 더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점, 유념할 필요가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주간 기업기상도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